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[근막경선 시리즈④] 근막경선을 따라 풀어주는 셀프 릴리즈 루틴 - 간단한 도구로 시작하는 홈케어

by 하우투데이 2025. 4. 11.

 

필라테스를 하다 보면 "이 동작이 왜 이렇게 어렵지?", "계속 같은 곳만 뻣뻣해요"라는 순간이 반복됩니다. 이럴 때 우리는 유연성이 부족하거나 근력이 약해서 그렇다고 생각하곤 하죠. 

 

하지만 문제는 단순히 근육 하나 때문이 아니라, 움직임 흘러가는 길 자체가 막혀 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. 

 

우리 몸은 근막이라는 얇은 막으로 연결되어 있고, 이 근막이 긴장되거나 접착되면 움직임의 흐름이 제한되고 감각이 둔해집니다. 이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근막경선을 따라 풀어주는 '릴리즈' 루틴입니다. 

 

 

도구 없이도 가능한 근막 릴리즈, 왜 중요할까요?

근막은 피부 바로 아래에 있으며 근육, 뼈와 장기를 연결해 주는 조직입니다. 토마스 마이어스가 제안한 '근막경선(Myofascial Meridian)'은 이 근막들이 길처럼 이어져 몸 전체를 하나의 선으로 연결한다고 설명합니다. 

 

그래서 특정 동작이 불편할 때, 그 부위만 푸는 것이 아니라 그 동작에 작용하는 선 전체를 따라 풀어줘야 효과적입니다.

 

예를 들어, 허리가 자꾸 아픈 사람은 허리만 푸는 것이 아니라 발바닥, 종아리, 햄스트링, 등으로 이어지는 뒤쪽 표층선(Superficial Back Line) 전체를 자극해야 합니다. 

 

이 릴리즈는 폼롤러나 테니스공, 혹은 맨몸만으로도 충분히 할 수 있습니다. 중요한 건 자극의 강도보다 감각의 회복이라는 점을 기억하세요. 

 


근막경선별 대표 릴리즈 루틴 

(1) 뒤쪽 표층선(SBL) - 종아리부터 등까지 

<자주 나타나는 증상>

  • 햄스트링 당김, 허리통증, 롤다운이 어려움

<릴리즈 방법>

  • 폼롤러: 종아리 아래에 두고 천천히 굴려줍니다. 
  • 맨몸: 벽에 기대어 상체를 아래로 굽히며 롤다운하듯 천천히 숨을 내쉬기 

 

(2) 앞쪽 표층선(SBL) - 허벅지 앞과 복부

<자주 나타나는 증상>

  • 복부에 힘이 안 들어감, 허리가 꺾임, 가슴 조임

<릴리즈 방법>

  • 폼롤러: 엎드린 상태에서 허벅지 앞쪽에 폼롤러를 대고 천천히 굴리기
  • 맨몸: 한쪽 무릎을 꿇고 골반을 앞으로 밀며 허벅지 스트레칭하기 

 

(3) 심층 중심선(DFL) - 코어 감각이 없는 겨우

<자주 나타나는 증상>

  • 중심이 무너지는 느낌, 코어가 느껴지지 않음

<릴리즈 방법>

  • 폼롤러 또는 테니스공: 내전근(허벅지 안쪽) 아래에 두고 부드럽게 압박하며 움직이기
  • 맨몸: 무릎을 세우고 누운 상태에서 배꼽 아래로 깊게 숨 쉬기

이 릴리즈는 꼭 운동 전에만 할 필요는 없습니다. 하루 중 언제든 몸이 무겁고 막힌 느낌이 들 때, 단 10분만 투자하면 몸의 흐름이 다시 살아납니다. 

 

(4) 측면선(LL) - 몸의 옆선과 균형 유지

<자주 나타나는 증상>

  • 몸의 균형 감각 저하, 옆구리 통증, 측면 스트레칭 시 불편함

<릴리즈 방법>

  • 폼롤러: 옆으로 누운 상태에서 폼롤러를 옆구리 아래에 두고 천천히 굴려줍니다. 
  • 맨몸: 서서 한 팔을 머리 위에 올리고 반대쪽으로 몸을 기울이며 측면 스트레칭

3. 중요한 건 '강도'가 아니라 '느낌'

근막 릴리즈는 통증을 견디는 시간이 아니라, 내 몸과 다시 연결되는 시간입니다. 자극이 지나치게 강하면 근막이 방어적으로 수축하기 때문에 릴리즈는 반드시 천천히, 부드럽게, 그리고 감각에 집중하며 진행해야 합니다. 

 

릴리즈 후 필라테스를 다시 해보면:

  • 척추가 더 부드럽게 움직이고
  • 복부에 자연스럽게 힘이 들어가며
  • 전체적인 연결감이 되살아나는 걸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. 

지금 내 몸이 뻣뻣하게 막힌 느낌이 든다면, 스트레칭 대신 '릴리즈'부터 시작해 보세요!

 

 

2025.04.09 - [분류 전체보기] - 근막경선이란? - 몸은 연결되어 있다

 

근막경선이란? - 몸은 연결되어 있다

내 몸이 연결되지 않는 느낌, 느껴보신 적 있나요? 필라테스를 하던 어느 날, 동작은 분명히 아는데 몸이 연결되어 움지이지 않는 느낌이 들었어요. 다리에 힘을 주면 팔에 힘이 풀리고, 팔에

jennifernote.com

 

2025.04.09 - [분류 전체보기] - [근막경선 시리즈②] 우리 몸에는 어떤 근막 라인들이 있을까?

 

[근막경선 시리즈②] 우리 몸에는 어떤 근막 라인들이 있을까?

우리 몸은 단순히 분절된 부위들의 집합이 아니라 하나의 연속된 체계로 연결되어 있습니다. 근막경선(Myofascial Meridian)은 이러한 몸의 연결성을 이해하는 중요한 개념인데요, 주요 근막경선들과

jennifernote.com

2025.04.11 - [분류 전체보기] - [근막경선 시리즈③] 근막경선으로 움직임을 다시 이해하기

 

 

[근막경선 시리즈③] 근막경선으로 움직임을 다시 이해하기

동작을 이해했는데 왜 몸은 따라오지 않을까? 필라테스를 처음 배우거나 오랜 시간 운동해 온 사람에게도 동작이 어려운 순간은 반복해서 찾아오기 마련입니다. 예를 들어, 롤다운에서 척추가

jennifernote.com